본문 바로가기
시설관리

화재감지기 종류 및 설치 제외 장소

by 콜드스카이 2022. 7. 24.
반응형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사람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바로 화재감지기입니다. 가장 먼저 화재에 대한 위험을 알리는 수단이기 때문에 건물 방화구역 또는 만들어지는 실마다 설치가 의무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감지기의 종류 작동 방식에 따라서 몇 가지로 나뉘게 되고 설치되는 기준 또한 소방법으로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 화재감지기의 종류 알아보기

 

<차동식 감지기>

천정에-설치된-차동식-열감지기
차동식-감지기

 감지내 내부의 밀폐된 공간이 화재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게 되고 그로 인해 전기적인 접점이 붙어 동작을 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열 상승률에 대비하여 작동을 하게 됩니다. 열에 의해 작동이 되기 때문에 연기식 감지기에 비하여 오작동률이 적기 때문에 먼지가 발생되는 밀폐공간 또는 오염이 심한 공간에 주로 설치가 됩니다.

 

 

<정온식 감지기>

흰색-정온식-감지기
정온식-감지기

 차동식과 마찬가지로 열에의해 감지기가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차동식과의 차이점은 정온식 감지기는 정해진 일정 온도가 되면 감지기 내부의 바이메탈 부품의 접점이 붙어 작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해진 일정 온도가 되면 감지기가 작동되기 때문에 오동작이 많은 보일러실 또는 불을 사용하는 주방등에 설치가 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반응형

 

<광전식(연기식) 감지기>

광전식-화재-감지기-한개
연기-감지기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작동이 되는 방식입니다. 광전식 감지기 내부에는 빛을 보내는 송신부와 빛을 받는 수신부가 있습니다. 이 사이가 연기에 의해 가로막히거나 빛의 산란 현상이 일어나면 화재로 인식하고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연기에 의해 작동하는 장점이 있지만 먼지 및 오염물질에 의해 오동작하는 사례가 많이 있어 장소에 따라 잘 적용해 사용해야 합니다.

 

 

<아날로그 감지기>

하얀색-아날로그-감지기
아날로그-감지기

 최근 설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방식으로 감기지 하나하나 차제적으로 주소가 존재하여 각각의 셋팅치를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먼지오염도가 있는 실내에 설치된 아날로그 감지기를 선택하여 감도치를 올리거나 낮출 수가 있습니다. 각각의 주소가 있어 화재 발생 시 정확인 포인트를 찾기가 용이하다는 큰 장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에 비하여 감지기 자체의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고 설치비 또한 높습니다.

 

 

<불꽃 감지기>

빨간색-불꽃-감지기
불꽃-감지기

 말그대로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을 적외선, 자외선 감지를 통해 동작을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불꽃에서 전달되는 복사파 가 청전부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에 이르게 되면 그 즉시 작동을 하게 됩니다.

 

 

◼︎ 면적별 화재감지기 설치대상 장소

< 연면적 600㎡>

  • 근린생활시설
  • 의료시설
  • 숙박시설
  • 위락시설
  • 장례식장 및 복합건축물

<연면적 1000㎡ 이상>

  • 공동주택
  •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탕
  • 문화집회시설
  • 종교시설
  • 판매시설
  • 운동시설
  • 업무시설
  • 공장, 창고, 지하가등

<연면적 2000㎡ 이상>

  • 교육연구시설
  • 수련시설
  •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등
  • 노유자 생활시설

 

◼︎ 화재감지기 설치 제외 장소

  • 목욕실, 욕조 또는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 부식성 가스가 항상 체류하고 있는 장소
  •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 고온 및 저온의 장소로써 감지기 오동작이 심하고 유지관리가 어려운 곳
  • 프레스공장, 주조공장 등 화재 발생의 위험이 적은 장소로서 감지기의 유지 관리가 어려운 장소
  • 먼지, 가루, 수증기가 항시 다량으로 체류하고 주방 등 평상시 연기가 체류하는 장소 (광적식 감지기에 한함)
  • 헛간 등의 먼지와 부유물이 떠다니는 장소로 화재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는 장소

 

◼︎ 축적 기능 화재감지기 사용 가능 장소

 축적 기능이 있는 감지기라 함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요건이 좋지 못하여 오동작이 심한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을 보류하는 것으로 오동작을 줄이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만들어 주는 형식을 말합니다.

  • 실내면적이 40㎡ 미만인 장소
  •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 바닥과의 거리가 2.3m 이하인 곳으로써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해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
  • 지하층, 무창층 등으로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장소

 

 

 

화재 감지기 오동작 이유와 대처 방법.

◈ 화재감지기 오동작 이유  시설 근무를 하게 되면 화재감지기의 오작동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 감지기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오동작 일수 있고 감지기가 설치된 실의 환경이 습하거나 온도가

lowbabel.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