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관리

화재 감지기 오동작 이유와 대처 방법.

by 콜드스카이 2021. 1. 18.
반응형

◈ 화재감지기 오동작 이유

 시설 근무를 하게 되면 화재감지기의 오작동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 감지기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오동작 일수 있고 감지기가 설치된 실의 환경이 습하거나 온도가 평균적으로 높아 오동작을 일으킬 수가 있다.

 

 연기감지기(광전식 감지기)의 경우가 오동작이 심한 편이며 그 이유는 먼지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감지기 내부에 먼지가 지속적으로 들어가면 오염이 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면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

 

 열감지기(정온식 감지기) 같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오작동이 적은 이유가 열에 의해서 작동을 하기 때문에 실제상황이 아닌 이상 대부분 감지를 하지 않는다.

 

 

 

 

 

시설관리 근무자의 화재감지기 보수 범위

 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연구소는 대부분 소방시설을 월 관리 받는다. 그래서 시설관리 근무자들의 화재감지기 보수 범위는 의외로 간단한 수준이 보통이며 감지기의 교체 혹은 이설 정도이다.

 

 감지기를 자체적으로 신설하는 곳에 있지만 최근 아날로그형 감지기(양방향 감 지지)가 보급되면서 업체의 도움이 없이는 공사가 힘든 것이 사실이다.

 

 

 

 

◈ 근무중 화재감지기 동작시

 근무 환경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이 시설 근무자가 주도적으로 체크를 한다. 일단 화재감지가 동작을 하면(오동작이라고 하더라도) 현장에 가서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 점검을 해야 한다. 경비근무자가 함께 따라오는 근무현장도 종종 있곤 하다.

 

 현장을 점검 후 화재발생시는 즉시 119에 신고를하고 비상연락망을 통해 상황전파를한다.그외 오동작일 경우는 감지기의 상태를 점검후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실의 오염이 있을 때는 환기를 시켜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