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에 설치되어있는 비상발전기는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비상 라인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전력공급은 어려울 수가 있어 주로 엘리베이터, 소방, 비상전등, 비상 전열 라인이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비상시가 아닌 한전전원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도 정전 신호가 잡히게 되면 비상발전기가 가동이 될 수가 있습니다.
◼︎ 문제 사항
건물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발전기는 1건물 뿐만 아니라 다른 곳 2 건물까지 커버를 하는 상황이었고 별도의 건물이 철거되면서 정전이 되는 상황이 발생되었습니다.
이럴때는 비상발전기를 수동 위치에 미리 두었어야 가동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전에 인지를 하지 못하여 비상발전기는 정전으로 인식하여 약 2시간가량 가동이 되었습니다.
비상정지를 시키고 발전기 가동위치를 수동으로 변경을 했지만 1 건물의 비상전원 공급 대기가 안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변경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 문제 해결
비상발전기로 들어오는 정전신호는 A접점이 있고 B접점이 있습니다. A접점의 경우는 정전 신호가 지속적으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설비가 철거되면 발전기의 위치를 자동으로 놓아도 돌아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B접점의 경우는 해당 설비를 완전히 철거하더라도 지속적인 정전 신호가 들어올 수가 있어 발전기 컨트롤판넬 내부 신호케이블을 분리해야 합니다.
2건물에서 비상발전기로 들어오는 정전 신호는 A접점이었기 때문에 완전히 전기설비가 철거된 후 발전기 '자동'위치로 두어 원상복귀를 하였습니다.
◼︎ 비상발전기 오작동
발전기는 정전신호에 의해 가동이 되고 별도의 정지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계속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상황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건물 비상발전기가 잘못된 정전 신호에 의해 야간에 돌아가게 되면 근무자가 알 아차리 못해 밤새 돌아가는 경우는 생길 수가 있습니다. 비상발전기는 부가 없더라도 연료 소모가 심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자동제어를 설치해 상황실에서도 발전기의 가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설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발전기 상용전원 비상전원 차이 (0) | 2022.10.06 |
---|---|
방화담요 용도 및 사용법 (0) | 2022.10.05 |
이산화탄소 소화기 장점 단점 및 소화효과 (0) | 2022.08.31 |
비상발전기 가동전후 점검사항 (0) | 2022.08.26 |
화재감지기 종류 및 설치 제외 장소 (0) | 2022.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