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raction Control System 약자로 TCS라고 표현을 하고 미끄러운 도로환경에서 바퀴의 접지력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 회전수를 제어하게 됩니다. 차량을 가속할 때 생기는 슬립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차선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아주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센서부품이 되었습니다.
◼︎ TCS 역할 기능
눈길, 빗길, 그밖에 도로 컨디션이 좋지 못한 환경을 주행할 때 차량 가속을 하게 되면 바퀴의 접지력이 떨어지게 되어 조향 기능이 저하될 수가 있습니다. 이럴 때 바퀴에 전달되는 출력 및 회전수를 각각 제어를 하여 차체를 잡아주는 기능을 TCS가 하게 됩니다. 차량이 안쪽으로 뒤틀리게 되는 '언더스티링' 및 차량이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는 '오버스트링' 현상을 최대한 방지시켜 주기 때문에 주행의 편리성을 더해줍니다.
차체가 밀리는 현상이 센서에의해 감지가 되면 엔진출력을 조절하여 각 바퀴의 속력을 제어하게 되고 그로 인해 차로 이탈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
반응형
◼︎ TCS 기능을 끌때
평상시에는 TCS기능을 항상 켜두어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하지만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기능을 꺼두기도 합니다.
- 경사각도가 심한 미끄러운 눈길을 저속으로 주행할 때는 TCS기능을 꺼두는 것이 차량 밀림을 줄이고 출력이 올릴 수가 있습니다. 엔진의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꾸준히 치고 올라가는 효과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 차량이 눈 혹은 진흙 속에 빠졌을 경우 TCS기능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 바퀴가 헛돌게 되면 센서는 차량이 밀리는 상황으로 인식하여 회전수를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출력을 좀 더 올리고 탈출에 적합한 회전수를 얻기 위해 잠시 TCS를 꺼두는 것도 방법이 됩니다.
◼︎ TCS 고장증상
- 빗길, 눈길등 컨디션이 떨어지는 도로환경에서 적절한 바퀴 출력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접지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 코너를 틀 때 차량이 밖으로 이탈하려는 경향이 생겨 '오버스트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코너를 틀 때 차량이 안쪽으로 뒤틀리려는 '언더스트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잡아주지 못해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합니다.
- 노면과 타이어 접지력 저하로 인해 연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 가속페달을 밟아도 속력이 오르지 않게 되며 커브구간에서 바퀴의 슬립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습니다.
※ TCS 센서 문제로 주행이 어려울 때는 정비소까지 이동을 하기 위해 기능을 잠시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슬립이 생기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주행을 하게 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차라리 천천히 속력을 내고 TCS 기능을 OFF 시키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모델Y 볼트 느슨/너클 관련 리콜 정보 (0) | 2023.03.05 |
---|---|
디젤차 요소수 경고등 들어오는 이유 및 관리방법 (0) | 2023.03.05 |
2023 쌍용 코란도 가격 엔진 및 제원 살펴보기 (0) | 2023.02.26 |
기아 스포티지/니로/쏘렌토 리콜 내용 정리 (0) | 2023.02.24 |
자동차 하이드로백 (브레이크 서보) 고장증상 수리비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