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설관리35 비상발전기 상용전원 비상전원 차이 비상발전기의 스펙을 살펴보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존재합니다. 출력 계산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되고 근무처마다 적용하는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혼동을 불러올 우려가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비상발전기 전원 분류가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비상발전기 출력 종류 설치되어 있는 발전기 엔진으로 최대한 가동해 낼수 있는 최대출력(설계출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한전 전원이 정전되어 있는 동안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상황에 따라 부득이하게 24시간 이상 사용도 가능합니다. 24시간이 넘는 가동을 할 때는 엔진오일, 냉각수, 필터 종류의 소모품 상태를 잘 체크해야 합니다. 상용 출력 × 1.1 ※ 최근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도 비상전원 기준으로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간혹 상용전원이 등록이 되어있어 현장과 한전 등.. 2022. 10. 6. 방화담요 용도 및 사용법 작은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화 담요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화재는 무엇보다 초기진압이 너무나도 중요한데 소화기, 스프링클러 등은 불꽃을 끄기 효과적이지만 2차적인 오염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소화기등을 개인이 사용할 때 숙지가 덜되어 있으면 사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방화담요는 그냥 뽑아서 화재원에 덮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접근성이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 방화담요 용도 다양한 화재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방화담요입니다.가정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기름화재, 집안에서 발생되는 일반화재,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약품 화재 및 기름화재 등 거의 대부분의 화재원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공기를 화재원과 차단시켜 소화를 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기화재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2022. 10. 5. 비상발전기 정전신호 관리 건물에 설치되어있는 비상발전기는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비상 라인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전력공급은 어려울 수가 있어 주로 엘리베이터, 소방, 비상전등, 비상 전열 라인이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비상시가 아닌 한전전원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도 정전 신호가 잡히게 되면 비상발전기가 가동이 될 수가 있습니다. ◼︎ 문제 사항 건물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발전기는 1건물 뿐만 아니라 다른 곳 2 건물까지 커버를 하는 상황이었고 별도의 건물이 철거되면서 정전이 되는 상황이 발생되었습니다. 이럴때는 비상발전기를 수동 위치에 미리 두었어야 가동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전에 인지를 하지 못하여 비상발전기는 정전으로 인식하여 약 2시간가량 가동이 되었습니다. 비상정지를.. 2022. 9. 27. 이산화탄소 소화기 장점 단점 및 소화효과 소화 후 2차 오염이 없고 냉각 및 질식소화에 특화된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전기화재에 대한 효용성이 좋기 때문에 전기실 내 비치해 사용하는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분말소화기와 다르게 약제 변질성이 없어 오랜 시간 보관이 가능해 사용의 이점이 있는 소화기로 분류가 됩니다. ◼︎ 이산화탄소 소화기 특성 공기보다 무거운 불연성 기체를 충전하여 화재 시 발화원의 질식 효과를 기대할수가 있습니다. 또한 냉각 효과까지 뛰어나기 때문에 빠르게 화재진압이 가능합니다.(-78℃) 용기 내부에 충전돼 압력으로 인해 방사효과 기능이 좋아 별도의 가압원이 없어도 충분이 활용이 가능한 소화기 이기 때문에 이용에 편리성도 갖추고 있습니다. 전기의 부도체 특성이 있어 전기화재에 적합하고 약제의 변질이 없으며 무색, 무취의 물성을 가.. 2022. 8. 31.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