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설관리35 비상발전기 가동전후 점검사항 비상발전기는 최소 주 1회 정도 가동을 시켜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엔진의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시운전 테스트 시간은 10분~15분 정도가 가장 적당하며 운전하기 전, 후 의 점검사항이 달라지게 됩니다. ◉ 비상발전기 가동전 점검 1. 연료확인 연료탱크 내부에 연료가 충분이 보충되어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불순물이 많을 시는 탱크 내부를 주기적으로 세척해 주는 것이 발전기 수명연장에 좋습니다. 연료탱크의 마개가 잘 닫혀 있는지 확인합니다. 2. 냉각수 냉각수 게이지를 확인해 적정량을 확인하고 게이지가 없을 시는 육안으로 양이 충분한지 점검을 합니다. 불순물이 없고 순도가 좋은 제품으로 보충을 하되 발전기 가동 중이나 직후에는 보충하지 않습니다. 보충을 했다면 마개를 필히 닫습니다. 히터에서 나오는 냉각수.. 2022. 8. 26. 화재감지기 종류 및 설치 제외 장소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사람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바로 화재감지기입니다. 가장 먼저 화재에 대한 위험을 알리는 수단이기 때문에 건물 방화구역 또는 만들어지는 실마다 설치가 의무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감지기의 종류 작동 방식에 따라서 몇 가지로 나뉘게 되고 설치되는 기준 또한 소방법으로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 화재감지기의 종류 알아보기 감지내 내부의 밀폐된 공간이 화재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게 되고 그로 인해 전기적인 접점이 붙어 동작을 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열 상승률에 대비하여 작동을 하게 됩니다. 열에 의해 작동이 되기 때문에 연기식 감지기에 비하여 오작동률이 적기 때문에 먼지가 발생되는 밀폐공간 또는 오염이 심한 공간에 주로 설치가 됩니다. .. 2022. 7. 24. 수변전 설비 LBS 종류 및 점검 방법 수변전설비중 고압 전기를 가장먼저 받고 거치게 되는 부분이 바로 LBS 입니다. LBS(Load Break Swich)는 (특)고압 부하개폐기로 일반적으로 단락 보호를 하기 위한 PF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LBS 점검 방법 전기설비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다른 설비의 파급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정상상태 에서는 부하전류 투입 및 차단, 통전 모두 가능하지만 자체적으로 고장 전류를 차단할수가 없어 PF가 함께 들어 갑니다.LBS에서는 PF가 용단되었을 경우 결상을 방지하는 기계적 장치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LBS 종류 기중부하개폐기: 전로의 개폐가 대기 중에서 이루어지는 개폐기를 말하고 실내용 부하개폐기는 부하전류의 개폐, 변압기의 1차 측 또는 커패시터의 개폐 등.. 2022. 7. 20. 건축전기기술사 시험일정 및 합격률 고도의 기술과 경험을 요구하는 현장에서 요구되는 자격증 중 하나인 건축전기기술사는 전기파트의 최고점에 위치는 자격증으로 취득의 문이 매우 좁아 그 희소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기 기술사 관련 자격증은 크게 건축전기기술사, 발송배전 기술사, 전기안전기술사 등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난이도는 건축전기기술사가 가장 높습니다. ❖ 건축전기기술사 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을 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 주로 건물을 올리며 전기 기반 시설이 들어갈 때 안전성 여부를 따져보는 감리업무, 전기 지식을 전달하는 강사 업무, 감리업체 운영, 한국전력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을 할 수가 있습니다. 전기 수용량이 점차 늘어나고 설비용량이 증대되고 있는 현재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자격증입니다. 안전과 직결되는 사.. 2022. 7. 9.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