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톡톡

은 진품 까짜 구분 방법 6가지 및 순도에 따른 분류

by 콜드스카이 2024. 1. 3.
반응형

 최근 온라인을 통해 은 악세사리를 구입하는 분들이 과거보다 많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저렴한 가격에 금속 알레르기를 거의 일으키지 않고 미관적으로 아름답기 때문에 선호하는 분들이 있는데 진품 인지 또는 가품인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가짜 구분 방법이 있어 적용하여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광택이-나고있는-은반지
은반지

◼︎ 은 진짜인지 확인하는 구분 방법

- 자석 테스트

 자력이 강한 자석을 이용하여 은 귀금속에 직접 대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은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자석에 대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반대로 은 함유량이 적고 금속 불순물이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경우 자석에 달라붙으려는 성질을 보여주게 됩니다. 금도 마찬가지로 14K 이상 순도가 높을수록 자석에 대한 반응이 없습니다.

 

- 각인 확인

 대부분의 은 귀금속, 실버바 등에는 별도의 각인이 새겨져 있습니다.은의 함유량에 따라 925(은 92.5%), 900(은 90%), 800(은 80%) 등으로 표기가 됩니다. 간혹 인터넷을 유통되는 은 귀금속에는 표기가 안되어 있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자석 미끄러 트리기

 실버바인 경우는 자석을 위에 올리고 비스듬하게 기울여 천천히 내려오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은 내부에 전자석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저항이 생겨 천천히 내려오는 것입니다. 작은 사이즈의 은 악세사리인 경우는 자석 위에 올려 기울여 보면 됩니다.

 

- 떨어트려 소리 확인

 은 특성상 충격이 살짝 가해질때 맑은 소리가 들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 금속의 경우는 딱딱한 바닥에 떨어트리면 둔탁한 소리가 나지만 은 같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맑은 소리가 나게 됩니다. 떨어트리는 바닥은 금속 재질이면 더욱 좋고 20cm 정도 높이가 적당합니다.

 

- 얼음 테스트

 얼려져 있는 얼음을 실버바 또는 은 귀금속 위에 살짝 올려보는 테스트입니다. 상온에서 실험해야 하며 은에 올려진 얼음이 바닥에 그냥 올려놓은 얼음보다 빠르게 녹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다만, 표면이 넓고 평평한 은 제품에는 테스트가 가능하지만 반지, 귀걸이 등의 작은 악세사리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시약 테스트

 가장 확실하고 정확하게 은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요즘은 금은방 또는 인터넷을 통해 은 테스트 시약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가 있습니다. 테스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은 제품 표면에 코팅된 부분을 날카로운 물건을 사용하여 살찍 스크래치를 냅니다. 시약을 떨어트릴 정도만 아주 살짝 흠집을 내주면 됩니다.
  2. 스크래치 길이는 대략 1cm 내외로 하고 이곳에 시약을 떨어트립니다.
  3. 시약이 스며들어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색변화가 생기고 은 함유량을 알아볼 수가 있습니다.
  • 연한 붉은색 => 순은
  • 진한 붉은색 => 925 은(92.5%)
  • 브라운색 => 800 은(80%)
  • 녹색 => 500 은(50%)
  • 파란색 => 니켈
  • 노란색 => 납, 주석
  • 진한 브라운색 =>  황동

 

2023.11.18 - [생활톡톡] - 은 장점 함유량별 특징 명칭 및 변색되는 이유

 

은 장점 함유량별 특징 명칭 및 변색되는 이유

귀금속으로써 가치를 충분하게 하는 은 같은 경우 순도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고 성질도 크게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은의 특성을 알아보고 보관 시 변색이 되는 이유

lowbabel.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