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톡톡

분진폭발 종류 및 연소가 이루어지는 가루들

by 콜드스카이 2022. 8. 6.
반응형

 여러 가지 폭발 화재 사고 중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 중 분진에 의한 것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공기가 적적하게 존재하고 밀폐된 공간에 분진의 퇴적, 날림 현상이 농도가 심하게 있고 불꽃, 스파크가 있을 때 연쇄적인 폭발사고로 나타나게 됩니다. 산업안전보건 기준에도 명시가 되어있는 분진작업은 총 26가지로 정의를 하고 있고 위험성 높다고 판단합니다.

 

 공기중에 부유하는 분진에 의한 사고 중 매체가 되는 것들로 광물, 암석, 전분, 톱밥, 플라스틱 등의 미세 입자를 꼽을 수가 있고 다양한 작업장에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 분진폭발 과정

폭발-화재가-발생한-나무집
화재

 폭발 매계체가 되는 공기가 적절하게 있고 외부로 분진이 새어 나갈 수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높은 밀도로 다양한 분진가루가 누적이 되면 위험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주로 스파크에 의해 분진폭발 사고가 일어나게 되며 세밀하게 들어가면 먼지 폭발, 분체 폭발의 종류가 있습니다. 점화원이 존재해야 하는 특징이 있고 산소가 농도가 많을 때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쇄적인 반응으로 폭발이 이루어지고 한번 시작이 되면 큰 화재사고로 번지는게 됩니다. 순간적으로 사고가 일어나기 때문에 초기대응을 할 시간이 부족해 인명피가 일어나는 대부분의 화재사고가 분진폭발을 꼽을 수 있습니다. 분진 화재가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퍼지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가 되는 사례가 많아 연소로 인한 유해 화학물질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질식사고의 위험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분진폭발은 공기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는 사고의 위험성이 낮아지게 되며 반대로 건조한 환경에 노출이 되면 그것이 비례하여 폭발사고 확률이 많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폭발의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은 앞서 말했듯 너무나도 다양한데 작은 입자로 존재할 수 있는 석탄가루, 밀가루, 금속가루, 나무가루 심지어 설탕가루 까지 여기에 포함이 됩니다.

 

 

◼︎ 분진의 종류 알아보기

창의-빛에-의해-보이는-먼지가루
분진

 입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 사고 종류를 분류할수가 있으며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의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가연성 분진>

 밀폐된 공간속 산소의 빠른 발열 반응을 일으켜 순간적인 폭발을 일으키는 분진을 말합니다. 점화원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종류로는 전도성 물질을 보이는 철, 동, 구리, 카본 등의 물질이 존재하며 비전도성 물질로는 플라스틱 가루, 합성수지 가루, 화학약품 가루 등을 꼽아볼 수가 있습니다.

 

<폭연 성 분진>

 분진까리의 마찰을 일으키는 성질이 강하여 산소량이 부족하거나 이산화탄소가 부유하고 있어도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순간적인 폭발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으로 볼 수가 있고 알루미늄 가루, 마그네슘 가루, 브론즈 가루 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은 입자가 작을수록 산화가 빨리 일어나고 자체적인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점화원이 작거나 혹은 없어도 주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폭발 화재 사고가 발생될 수가 있습니다.

 

 

◼︎ 분진폭발 사고 예방

손바닥에서-나오는-밀가루
분진가루

  • 분진이 발생될수 있는 장소에는 필수적으로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창이 있어야 합니다.
  • 밀폐된 공간에서 파쇄, 절삭, 샌딩 등의 작업을 할때는 반드시 환기를 시킬 수 있는 배기장치를 마련한 후 실시해야 합니다.
  • 건조한 날씨에 분진이 발생되는 작업을 할때는 습도를 올릴 수 있는 대비책을 만들거나 분진이 배출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어야 합니다.
  • 분진가루가 퇴적될수 없도록 작업 후 바닥의 청소를 실시하고 작업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환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위험물의 농도를 높이지 않게 하기위해 작업장 공간의 사이즈를 너무 협소하게 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화재감지기 종류 및 설치 제외 장소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사람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바로 화재감지기입니다. 가장 먼저 화재에 대한 위험을 알리는 수단이기 때문에 건물 방화

lowbabel.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