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를 사용하다 보면 의도치 않게 작동이 되지 않거나 소음의 정도가 심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가 있습니다. 그 외 김치맛이 쉽게 변질되거나 얼어버리는 현상도 생길 수가 있어 자체적으로 사용자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정리를 했습니다. 간단한 방법으로 대부분의 위니아 김치냉장고 고장증상을 해결할 수가 있어 내용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위니아 김치냉장고 고장증상 해결법
<김치냉장고 소음이 심할경우>
- 이사 등으로 김치냉장고 이동을 시키는 경우 소음이 갑자기 생길 수가 있는데 벽면과의 거리가 10cm 이상 이격이 되어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너무 가까이 벽면과 붙어있게 되면 공기의 유입이 방해가 되어 FAN의 소음이 커질 수가 있습니다.
- 김치냉장고 내부에 음식물이 과하게 보관되어 있어도 냉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음이 크게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너무 과도하게 음식을 채우기보다는 약간씩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 수평이 맞지 않은 경우 내부 휀의 소음이 커질 수가 있어 하단의 나사를 조절하여 균형을 맞춰줘야 합니다.
<김치냉장고 냉기가 약할 경우>
- 처음 김치냉장고를 설치하고 24시간 정도 경과가 되어야 제대로 된 냉기가 나오게 됩니다.
- 냉동은 -16도 ~ -24도로 세팅을 하고 냉장의 경우는 1도 ~ 5도 세팅이 좋습니다.
- 김치냉장고 내부 냉기가 나오는 구멍을 용기가 막지는 않았는데 확인을 합니다.
- 김치냉장고 내부 음식물을 70% 내외까지 채워주는 것이 냉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김치가 어는 경우>
- 온도세팅이 너무 낮게 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을 합니다. 적정 냉장 온도는 1도 ~ 5도 부근입니다.
- 김치냉장고 전용용기가 아닌 얇은 재질의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김치가 얼수 있습니다.
- 오랫동안 김치를 보관하면서 국물이 싱거워지는 경우 쉽게 얼어버릴 수가 있습니다.
<김치가 물러지는 경우>
- 화학조미료 또는 김치를 담글 때 과도하게 젓갈을 첨가하는 경우 온도와 상관없이 물러질 수가 있습니다.
- 신성도가 떨어지는 배추를 사용하거나 수분이 많은 배추를 사용할 때 쉽게 물러질 수가 있습니다.
- 김치냉장고 전용용기 이외의 비닐,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김치가 물러질수가 있습니다.
- 김치냉장고의 세팅온도를 너무 자주 바꾸게 되면 쉽게 물러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김치냉장고 물 흐르는 소리>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배관을 통해 냉매가 흐르는 정상적인 소리입니다. 하지만 김치냉장고 내부에 음식물이 많이 보관되어 있으면 더욱 자주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릴 수는 있습니다.
<외관이 뜨거워지는 경우>
음식물을 갑자기 많이 보관하거나 주위의 온도가 높은 경우 압축기의 가동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냉장고 표면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 외 도어 결로현상을 막아주기 위해 김치냉장고 표면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도 있습니다.
<김치냉장고 외관에서 전기가 통하는 경우>
냉장고 외관은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절연이 확보되어야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김치냉장고의 코드를 꼽는 콘센트에 접지설비가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을 하고 만약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면 점검을 받아봐야 합니다.
<김치냉장고 전원이 자꾸 떨어지는 경우>
- 주변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많이 사용하는지 체크를 합니다. 특히 커피포드, 밥솥, 드라이기, 전열기구, 에어컨 등은 전력소모가 많은 제품이기 때문에 동시에 사용을 하게 되면 과전류로 차단기가 떨어지게 됩니다.
- 김치냉장고 전기코드 또는 벽면의 콘센트에 탄흔적, 탄 냄새가 나지는 않는지 점검을 하고 만약 문제가 있다면 서비스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냉장고 냄새 없애는 방법 완벽정리
한번 베인 냉장고 냄새는 쉽게 사리지지 않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담긴 용기에서 새어 나온 냄새 입자는 냉장고 플라스틱 벽면에 들러붙어 고착화되기 때문에 쉽사리 제거가 되
lowbabel.tistory.com
'생활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병수당 지원금액 신청자격 및 시행지역 정리 (0) | 2023.07.07 |
---|---|
집에 벌집 생겼을때 해결방법 및 응급조치 (0) | 2023.06.26 |
스마트폰 바닷물에 빠졌을때 대처방법 (0) | 2023.06.18 |
올바른 제습기 용량 선택방법 주의사항 (0) | 2023.06.13 |
에어컨 전기세 많이 나오는 이유 및 절약방법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