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휘센 제습기를 사용하다가 소음이 커지거나 표시창에 알 수 없는 에러코드 발생 또는 바닥에 물기가 비치는 등의 고장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부분 사용자 본인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참고하고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 LG 제습기 고장 증상 및 원인
- 디스플레이에 'dF' 가 뜨는 경우
제습기를 사용하는 실내의 기온이 낮은 경우 기기 내부 열교환기에 물기가 맺히게 됩니다. 이때 물기 제거를 위해 제상 기능이 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표시창에 'dF' 코드가 뜨게 됩니다. 제상 기능이 돌아갈 때는 제습기능이 활성화되지 않고 5분 ~ 10분 정도 시간이 지나야 합니다.
- 제습기 날개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
작동중인 제습기의 날개를 억지로 위치 변경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입니다. 제습기의 전원을 켠 다음 2~3초 후 다시 전원을 끕니다. 그러면 날개의 위치가 정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 제습기 물통에 검은 얼룩이 보이는 경우
- 처음 제습기를 사용하면 열교환기에 코팅되어 있는 가공유 성분의 배출로인해 물통에 검은빛이 보일 수 있습니다.
- 그 외 제습기 내부에 유입된 먼지등으로 인해 물통에 이물질이 보일 수 있습니다.
- 물통 비울 때 바닥에 물이 비치는 경우
제습기의 전원을 끄고 바로 물통을 비울 때가 있습니다. 물통을 비우는 사이 열교환기에 묻어있는 물기가 그대로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제습기의 전원 OFF 한 다음 5분 정도 있다가 물통을 비우면 해결이 됩니다.
- 제습기 가동시 바닥에 물이 보이는 경우
- 물배수 통로가 막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통을 빼고 물이 떨어지는 구멍을 면봉등으로 청소해 주면 해결이 됩니다.
- 물받이 통이 깨져 누수가 생기는 사례도 있습니다.가까운 서비스센터에서 물통을 별도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제습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 실내공기의 습기를 제거할때 제습기 컴프레셔가 돌아가게 되는데 웅~하는 소음이 들리는 것은 정상입니다. 만약 스마트제습, 쾌속제습 등의 기능을 사용하면 소음이 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공기가 유입되는 필터 오염이 심한경우에 제습기 가동 소음이 커질 수가 있습니다. 필터 먼지 청소는 한 달에 2번 정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낮은 확률로 제습기 컴프레셔 고장으로 심한 소음, 진동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LG 서비스 접수를 하여 처리받을 수 있습니다.
- 제습기 날개 소음 발생 시
날개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에 문제가 생겼거나, 날개 주변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경우 날개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제습기에서 찬바람 나올때
습도, 온도가 높은 여름철 제습기를 사용하면 송풍구에서 뜨거운 바람이 보통 나오지만 기온이 낮고 건조한 가을, 겨울에 제습기를 가동하면 찬바람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제습기 바람이 안 나올 때
- 제습기의 전원 코드가 잘 꼽혀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 표시창에 아무것도 표시가 되지 않는다면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것입니다. 전원 버튼을 정확히 눌러봅니다.
- 물통에 물이 꽉 차게 되면 제습기 동작이 안됩니다. 물통을 비우고 재가동을 시켜야 합니다.
- 제습기 전원이 켜지지 않을 때
- 상부 버튼 주변에 물기가 묻어있으면 스위치를 눌러도 작동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른 수건 등으로 물기를 제거합니다.
- 멀티콘센트등의 전원상태를 확인합니다.
- 표시창에 'CL' 오류가 뜨는 경우
- 습도는 낮추는 과정에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된 것입니다. 습도를 올리는 버튼+강풍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면 리셋이 됩니다.
- 곰팡이 냄새날 때
필터의 청소 주기를 너무 길게 할 때 해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제습기 필터는 보름에 1회 정도 물청소를 해준후 확실하게 건조해 재장착을 해줘야 합니다.
- 표시창에 'HI' 코드가 발생할 때
실내의 습도가 80% 이상일 때 발생하는 코드입니다. 만약 실내가 건조한데도 'HI'코드가 발생된다면 습도센서의 고장이 발생되었을 수 있습니다.
- 표시창에 ' CH 67 코드 발생 시
제습기 내부 송풍 FAN의 동작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전원코드를 분리하고 3분 정도 이후에 재가동을 시켜봅니다. 같은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서비스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표시창에 'CH01' 또는 'CH02' 뜨는 경우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및 배관 센서의 에러코드입니다. 전원 코드를 뽑고 3분 후 재가동을 합니다. 같은 증상 반복 시 서비스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표시창에 'Lo' 코드 나타날 때
실내 습도가 3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코드입니다. 만약 실내 습도가 높음에도 해당 코드가 나타난다면 습도센서 고장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올바른 제습기 용량 선택방법 주의사항
눅눅해지는 여름철 실내 공기를 보송하게 만들어주는 제습기의 구입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제습기는 에어컨과 비슷하면서 다른점이 많이 있기에 선택을할때 주의할 사항이 몇개가
lowbabel.tistory.com
'생활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룸 제습기 선택방법 및 사용법 장점 4가지 (0) | 2023.08.02 |
---|---|
호신용품 종류 4가지 와 각각 장점 단점 알아보기 (0) | 2023.07.25 |
에어컨 누수원인 수리비용 및 예방법 완벽정리 (0) | 2023.07.23 |
이동식 에어컨 장점 단점 및 소비전력 전기세 정리 (0) | 2023.07.19 |
인천 청년월세 지원사업 신청자격 및 지급금액 혜택 (0) | 2023.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