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테빌라이저(활대링크) 란?
차량 하부의 로어암에 설치가 되어있고 앞, 뒷바퀴가 좌우로 움직일 때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만들어줍니다. 주행을 할 때 흔들림이 없게 하고 차세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스테빌라이저 부품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심한 소음이 발생되고 주행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 스테빌라이저 역할
<자동차 자세 유지>
스테빌라이저는 차량의 로어암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가되어 차체가 한쪽으로 쏠리는 증상을 막아줍니다.
<수평유지 기능>
차량의 바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작을 할때 작동을 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지면과 타이어 접지력 유지>
주행하는 도로와 타이어의 접지력을 올려줘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티어링 휠 안정>
주행중 핸들이 부정확하게 떨리는 것을 막아 줍니다.
<요철 완화>
도로의 방지턱 또는 돌출 부분을 넘어설 때 승차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스테빌라이저 (활대링크) 이상 증상
주행환경이 악조건 이거나 차량의 노후화가 진행되는 경우 스테빌라이저와 관련된 고무 재질의 부싱이 마모되고 유격이 생겨 요철, 방지턱 등을 넘어설 때 소음이 발생됩니다.'찌걱'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 바로 스테빌라이저(활대 링크)의 기능이 나빠진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 차세를 잡아주는 기능이 떨어져 코너링을 할 때 안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 주행을 할때 핸들이 심하게 흔들리는 증상이 발생될 수가 있습니다.
- 타이어의 접지력이 떨어지면서 주행소음이 커지게 됩니다.
- 방지턱 또는 울퉁불퉁한 노면을 지날 때 '찌그덕', '끼익' 하는 소음이 발생됩니다.

◼︎ 수리비용
좌우 바퀴에 각각 들어가는 부품이기 때문에 개당 2만 원 정도를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형차 기준 부품비(2개) 4만 원 + 공임비 3만 원 정도를 적용해 보았을 때 총 6만 원 ~ 7만 원 정도의 수리비용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정비소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금액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차량의 바퀴를 분리한 후 바로 정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리 시간은 비교적 짧다고 볼 수 있습니다.(대략 30분)
※ 공임비 3만 원은 공임 나라 표를 참고한 것입니다. 단순교환으로 분류가 되고 부싱까지 교체하게 되면 비용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종류 살펴보기
운전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에 차량 계기판에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전자제어 장치가 차량을 진단하고 문제가 있을 때 운전자로 하여금 인지를 시켜주는 것 이기 때문에 가볍게
lowbabel.tistory.com
'생활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 나오는 꿈 해몽 꿈풀이 완벽정리 (0) | 2022.11.11 |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지원방법 및 혜택 (0) | 2022.11.10 |
노약자석 교통약자석 규정 과 자격조건 (0) | 2022.11.08 |
파워오일 점검방법 및 교환비용 (0) | 2022.11.06 |
스타트모터 고장증상 및 수리비용 정리 (0) | 2022.11.05 |
댓글